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 지원 정책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부산시는 2025년 총 5,122대의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보조금을 신청하려면 지원 대상, 신청 절차, 지급 금액, 유의사항 등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신청이 지연되거나 보조금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지급 절차, 유의사항 등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신청자분들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부산시만의
다양한 추가지원 정책이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하세요!
1. 2025년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 개요
부산시는 올해 전기승용차, 전기화물차, 전기버스, 어린이 통학 차량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보급 기간 및 신청 개요
- 2025년 2월 5일(수) ~ 2025년 12월 12일(금)
- 단, 예산이 조기 소진될 경우 신청이 조기 마감될 수 있음
- 우선순위 대상자, 택시·택배 차량, 중소기업 생산 전기화물차는 9월 30일까지 별도 접수 후, 잔여 물량을 10월 1일부터 통합하여 배정
구분 | 세부 내용 |
보급 기간 |
25. 2. 5.(수) ~ 25. 12. 12.(금)
|
특별 운영 기간 |
- 택시, 택배 보급: 25. 2. 5.(수) ~ 25. 9. 30.(화)
- 중소기업 생산 전기화물차: 25. 2. 5.(수) ~ 25. 9. 30.(화) - 우선순위 보급: 25. 2. 5.(수) ~ 25. 9. 30.(화) |
주의 사항 |
- 지원 신청 접수 순서와 관계없이 출고·등록 순으로 보조금 지급
- 공고문에 명시되지 않은 사례의 해석 및 결정은 부산광역시 탄소중립정책과의 의견을 따름 |
신청 방법 |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서 신청
|
신청 절차 |
① 구매자: 구매 지원신청서 및 첨부서류를 제조·수입사에 제출
② 제조·수입사: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을 통해 신청 |
우선순위 대상 |
취약계층 (장애인, 차상위 계층, 국가유공자, 소상공인 등), 다자녀 가구, 생애 최초 차량 구매자, 미세먼지 개선 효과 높은 차량 구매자, 어린이 통학버스 등
|
보조금 지원 대상 차량 요건 |
① 자동차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소음·진동관리법 등 관계법령의 인증 완료 차량
② 전기차 보급대상 평가기준을 충족한 차량 ③ 배터리 처리 현황 등 필수정보 제공이 가능한 제조사의 차량 |
보조금 지원 대상 차량 및 금액 확인 |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서 조회 가능
|
보급 대수 및 지원 규모
부산시는 2025년 5,122대의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하며, 세부적인 지원 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세부내용 |
총 보급 대수 |
5,122대 (승용 3,770대, 화물 1,200대, 버스 140대, 어린이차량 12대)
|
전기승용차 (3,770대) |
일반 2,370대, 택시 700대, 우선순위 700대
|
전기화물차 (1,200대) |
일반 143대, 택배 238대, 우선순위 700대, 중소기업 생산물량 119대
|
전기버스 (152대) |
시내버스 140대, 어린이 차량(우선순위) 12대
|
- 전기승용차: 3,770대 (일반 2,370대, 택시 700대, 우선순위 700대)
- 전기화물차: 1,200대 (일반 143대, 택배 238대, 우선순위 700대, 중소기업 생산 물량 119대)
- 전기버스: 152대 (시내버스 140대, 어린이 차량 12대)
보조금 신청 시 주의사항
- 출고·등록 순으로 보조금 지급 (신청서 접수 순서가 아님)
- 공고문 및 신청서식에 명시되지 않은 사례는 부산광역시 탄소중립정책과의 해석을 따름
- 전기차 구매 후 의무 운행 기간(8년) 준수 필수
2. 보조금 지원 대상 및 조건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은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외국인 등 다양한 대상에게 지급되지만,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개인 및 개인사업자
- 신청일 기준 60일 이상 부산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 개인
- 개인택시 등 영업용 차량은 사용본거지가 부산이어야 함
- 개인사업자는 사업장 소재지가 부산이어야 신청 가능
법인 및 기업
- 사업자등록증 또는 법인등기부등본을 통해 부산 내 사업장 소재지 확인 필수
- 전기화물차의 경우, 중소기업은 2대 이상 구매 가능 (국비 지원 가능)
- 대기업 및 공공기관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
외국인
- 재외국민(F-4 비자) 및 국내 영주권자(F-5 비자) 신청 가능
- 국내 체류 기간이 2년 이상 남아 있어야 함
- 외국인등록증 또는 거소사실확인서 제출 필요
지원 제외 대상
- 전기차 제조·수입·판매사가 자사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
- 중앙행정기관에서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
- 위장전입 등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신청하는 경우
- 보조금 지원 후 2년 내 동일 차종을 추가 구매하는 경우 (일부 예외 존재)
3. 보조금 지원 금액
보조금 지원 금액은 차량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국비와 시비(부산시 지원금)로 구성됩니다.
전기차 보조금 지원 금액 (최대 금액 기준)
차량 유형 | 국비 지원 | 부산시 지원 | 총 보조금 (최대) |
---|---|---|---|
전기승용차 (중·대형) | 580만원 | 230만원 | 810만원 |
전기승용차 (소형) | 530만원 | 210만원 | 740만원 |
전기화물차 (소형) | 1,050만원 | 330만원 | 1,380만원 |
전기화물차 (경형) | 770만원 | 240만원 | 1,010만원 |
전기버스 (대형) | 7,000만원 | 500만원 | 7,500만원 |
전기버스 (중형) | 5,000만원 | 350만원 | 5,350만원 |
※ 부산시 지원금(시비 보조금)은 국비 보조금에 비례하여 차등 지급됨
차종별 지원금액
현대자동차
차종 | 차량명 | 지역할인금액 |
화물(소형) | 포터 II 일렉트릭(24MY) | 50만원 |
화물(소형) | ST1 기본형 카고 17인치 | 50만원 |
화물(소형) | ST1 기본형 카고 냉장 17인치 | 50만원 |
화물(소형) | ST1 기본형 하이탑 17인치 | 50만원 |
승용 | GV60 스탠다드 2WD 19인치 | 50만원 |
승용 | GV60 스탠다드 AWD 19인치 | 50만원 |
승용 | GV60 스탠다드 AWD 20인치 | 50만원 |
승용 | GV60 퍼포먼스 AWD 21인치 | 50만원 |
승용 | Electrified GV70 AWD 20인치 | 50만원 |
승용 | Electrified GV70 AWD 19인치 | 50만원 |
승용 | Electrified GV70 AWD 20인치 (2025) | 50만원 |
승용 | Electrified GV70 AWD 19인치 (2025) | 50만원 |
승용 | Electrified G80 AWD 19인치 (2025)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6 스탠다드 2WD 18인치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6 롱레인지 2WD 18인치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6 롱레인지 AWD 20인치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6 롱레인지 AWD 18인치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6 롱레인지 AWD 20인치 | 50만원 |
승용 | 코나 일렉트릭 2WD 스탠다드 17인치 | 50만원 |
승용 | 코나 일렉트릭 2WD 롱레인지 17인치 | 50만원 |
승용 | 코나 일렉트릭 2WD 롱레인지 19인치(브릿지스톤) | 50만원 |
승용 | 코나 일렉트릭 2WD 롱레인지 17인치(컨티넨탈) | 50만원 |
승용 | 아이오닉5 N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19인치 빌트인 캠 제외용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19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20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AWD 롱레인지 20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AWD 롱레인지 19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AWD 롱레인지 N라인 20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AWD 롱레인지 빌트인 캠 제외 20인치 | 50만원 |
승용 | 더뉴아이오닉5 2WD 스탠다드 19인치 | 50만원 |
이브이케이엠씨, 파츠몰에이투지
차종 | 차량명 | 지역할인금액 |
화물(소형) | MASADA 2밴 | 50만원 |
화물(소형) | MASADA 4밴 | 50만원 |
화물(소형) | MASADA 픽업 | 50만원 |
화물(소형) | SW40 | 50만원 |
4. 보조금 추가 지원 혜택
부산시는 전기차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특정 계층과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추가 지원 대상 | 추가 보조금 (최대) |
차상위 계층 | 국비 지원액의 20% |
생애 최초 차량 구매자 (청년) | 국비 지원액의 20% |
다자녀 가구 (만 18세 이하 자녀 2명 이상) | 2자녀 100만 원 / 3자녀 200만 원 / 4자녀 이상 300만 원 |
전기택시 구매자 | 국비 250만 원 (법인택시 중소기업 한정) |
소상공인 전기화물차 구매 | 국비 지원액의 30% |
농업인 전기화물차 구매 | 국비 지원액의 10% |
택배 차량 | 국비 지원액의 10% |
기존 노후 전기차 폐차 후 재구매 | 20만 원 추가 지원 |
부산 출산 가정 | 첫째 출산 100만 원 / 둘째 이상 150만 원 |
지역할인제 참여 차량 | 최대 100만 원 (제작사 50만 원 + 부산시 50만 원) |
🚨 이러한 추가 보조금은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선착순으로 지급되므로, 신청 전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추가지원 상세정보
상세 정보는 아래 내용을 참조하세요! |
1. 차상위 계층 지원✅ 승용차(중·대형, 소형, 초소형) → 국비 지원액의 20%✅ 화물차 → 국비 지원액의 30% 2. 생애 최초 승용차 구매 지원 (개인사업자·법인 제외)✅ 청년층(만 19~34세, 「청년기본법」 적용 대상자) → 국비 20% 추가 지원3. 다자녀 가구 지원 (개인 구매, 개인사업자·법인 제외)✅ 승용차(중·대형, 소형) 구매 시 추가 지원
4. 전기택시 지원✅ 승용차 → 1대당 국비 250만 원 (법인택시는 중소기업 한정)5. 소상공인 지원✅ 화물차 → 1대당 국비 지원액의 30%6. 농업인 지원✅ 화물차 → 1대당 국비 지원액의 10%📌 필요 서류
7. 택배 차량 지원✅ 화물차 → 1대당 국비 지원액의 10%📌 지원 조건
8. 전기화물차 추가 지원✅ 경유 화물차 보유자
9. 도심 내 영업용·지역 거점 사업 지원✅ 승용차(초소형), 화물차(초소형) → 1대당 국비 50만 원📌 필요 서류
10. 기존 노후 전기차 폐차 후 재구매 지원✅ 20만 원 추가 지원📌 지원 대상
11. 부산 “아이조아 페스티벌” 출산 가정 추가 지원✅ 출산 가정 전기차 구매 시 최대 150만 원 추가 지원📌 지원 대상
12. 부산 “지역할인제” 참여 차량 추가 지원✅ 승용·화물 전기차 구매 시 최대 100만 원 지원📌 할인 구조
📌 제작·수입사 참여 신청
|
추가지원 증빙서류
5.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 절차
- 구매 계약 체결
- 전기차 제조·판매사와 계약 체결 후 보조금 신청 가능
- 구매 지원 신청서 제출
-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서 신청
- 자격 검토 및 보조금 대상자 선정
- 서류 검토 후 자격 부여 (출고·등록 일정 확인)
- 차량 출고 및 등록
- 차량이 출고되고 등록이 완료되면 지급 신청 가능
- 보조금 지급 신청
- 차량 출고 후 10일 이내 보조금 신청서 제출
6. 보조금 지급 절차 및 필요 서류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차량 출고 전과 후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절차를 정확히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차량 출고 전: 구매 지원 신청 시 필요 서류
보조금 신청을 위해 차량 출고 전에 아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공통 제출 서류
- 구매지원 신청서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다운로드 가능)
- 보조금 지급 취소 또는 환수에 관한 동의서
- 지방세 납세증명서 (완납증명서, 유효기간 내 발급본)
- 차량 구매계약서 (출고 예정일, 계약번호 기재 필수)
신청자 유형별 추가 제출 서류
- 개인 / 개인사업자
- 주민등록초본 (신청일 기준 한 달 이내 발급, 주소변동사항 포함)
- 공동명의의 경우 주민등록등본 추가 제출 (세대구성정보 포함)
- 사업자등록증 (개인사업자 한정)
- 법인: 법인등기부등본 (신청일 기준 한 달 이내 발급, 말소내역 포함)
- 외국인: 거소사실확인서, 재외국민 및 영주권 증빙서류 (비자 F4, F5)
🚨 주의사항
- 출고 예정일, 계약번호 미기재, 초본 주소변동사항 미포함 등의 오류가 있으면 보조금 대상자로 선정되지 않으므로 서류 검토를 철저히 해야 함
② 차량 출고 후: 보조금 지급 신청 시 필요 서류
차량이 출고되고 등록이 완료된 후 보조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추가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공통 제출 서류
- 보조금 지급 신청서
- 세금계산서 (제작·수입사가 발급)
- 자동차등록증 또는 자동차등록원부(갑)
- 보조금 입금계좌 통장 사본
- 제작·수입사 사업자등록증
추가 제출 서류
- 공동명의 차량: 주민등록등본 (공동명의 조건 유지 확인용)
- 경유차 폐차 대상자: 자동차 말소사실증명서 (사본)
- 기존 노후 전기차 폐차 대상자: 자동차 말소사실증명서 (사본)
🚨 주의사항
- 보조금 지급 신청일 이전까지 폐차가 완료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보조금을 받을 수 없음
7. 신청 시 유의사항 및 보조금 환수 조건
보조금을 신청할 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특히 보조금을 지급받은 후 의무 운행 기간을 준수하지 않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신청하는 경우 지급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① 보조금 신청 시 주의사항
- 보조금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위장전입 등의 부정 신청 시 보조금 환수 조치가 취해짐
-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이내에 차량 출고가 완료되지 않으면 신청이 자동 취소되거나 대기자로 변경될 수 있음
- 공동명의 차량의 경우, 대표자 1인에게 보조금이 지급되며 대표자에게 재지원 제한 기간이 적용됨
-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등이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보조금 지급으로 인해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등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 필요
② 보조금 환수 조건
부산시는 보조금을 지급받은 차량이 의무운행 기간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일정 비율의 보조금을 환수합니다.
의무운행 기간 및 보조금 환수율
운행기간 | 환수율 (%) |
---|---|
6개월 미만 | 70% |
6~12개월 미만 | 65% |
12~18개월 미만 | 60% |
18~24개월 미만 | 55% |
24~30개월 미만 | 50% |
30~36개월 미만 | 40% |
36~48개월 미만 | 30% |
48~96개월 미만 | 20% |
🚨 특히 2년 이내 차량을 매매하거나 타 지자체로 전출하는 경우 보조금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8. 결론: 2025년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 이렇게 준비하세요!
2025년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은 5,122대 규모로 지급되며, 신청자격과 절차를 철저히 준수해야 원활하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중요 포인트 요약
- 보조금은 출고·등록 순으로 지급되므로 빠른 신청과 출고가 중요
- 신청 전 지원 대상 및 필요 서류를 철저히 검토해야 함
- 전기차 구매 후 최소 8년간 의무 운행해야 하며, 2년 이내 판매 시 일부 보조금 환수 가능
- 추가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여 최대 지원금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을 최대한 활용하여, 전기차 구매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 FAQ
Q.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 시 지방세 체납이 있으면 지원이 불가능한가요?
네, 지방세를 체납한 경우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신청 시 지방세 납세증명서(완납증명서) 제출이 필수이며, 발급일 기준으로 유효한 상태여야 합니다. 체납이 확인될 경우 보조금 대상자 선정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체납이 있다면 사전에 납부 후 증명서를 발급받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면 몇 년 동안 차량을 유지해야 하나요?
부산시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받은 차량은 최소 8년간 의무운행 해야 합니다. 단, 최초 2년 이내에는 부산시 내에서만 차량을 매매할 수 있으며, 타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보조금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사고로 인한 폐차,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별도 심사를 통해 보조금 환수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Q. 개인과 법인 중 보조금 지원 조건이 다른가요?
네, 개인과 법인의 보조금 지원 조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개인은 1대만 지원받을 수 있으며, 2년간 재지원이 제한됩니다. 반면 법인은 1대 지원이 원칙이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전기택시는 재지원 제한이 없습니다. 또한, 법인은 신청 시 사업자등록증 또는 법인등기부등본을 제출해야 하며, 차량 사용본거지가 부산시에 있어야 합니다.
Q. 부산시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면 추가적인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나요?
네, 전기차를 구매하면 보조금 외에도 다양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별소비세 최대 300만 원, 취득세 최대 140만 원 감면 등의 혜택이 적용됩니다. 또한, 부산시에서는 전기차 충전 요금 할인, 공영주차장 이용료 감면,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의 추가 혜택도 제공합니다. 세제 혜택과 별도로 전기차 유지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Q. 전기차 보조금 신청 후 출고 일정이 늦어지면 어떻게 되나요?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이내에 차량을 출고하지 않으면 자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제조·수입사와 협의하여 출고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출고 지연이 예상된다면 부산시 담당 부서나 제조사에 사전 문의하여 대기자 변경 또는 연장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출고 지연으로 인해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